티스토리 뷰

#init #commit #checkout #push #clone #pull
기본 명령어
- 단독으로 사용하면 명령어의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.
git

로컬저장소 생성하기 (초기화)
- 로컬 프로젝트 최상위 디렉터리 안에서 실행 시, 로컬 저장소를 생성한다.
- 명령어가 실행되고 나면 해당 디렉터리에 .git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git init

계정 정보 설정하기
- 해당 git 프로젝트의 계정 정보를 설정한다.
- 로컬 테스트로만 사용할 경우, 임의 정보를 입력해도 무방하지만,
원격저장소와 연동할 경우, github 계정 정보를 기입해야 한다.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[이메일계정]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[계정명]"
#e.g.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mail_account@mail.com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account_name"
커밋 만들기
- add : 스테이지(stage) 영역으로 대상 파일(들)을 등록한다.
- commit : 스테이지에 등록된 파일(들)을 커밋한다.
- commit -m : 커밋 메시지와 함께 커밋한다.
(커밋 메시지는 추후 변동사항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적는 것이 좋다.)
git add [대상 파일]
git commit -m "[코멘트]"
#e.g.
git add src/main/resources/schema.sql
git commit -m "update member table schema"

커밋 기록 보기
- 해당 git 프로젝트의 히스토리를 조회한다.
git log
다른 커밋으로 되돌리기 (체크아웃)
- 지정한 커밋ID 버전으로 되돌리거나 브랜치로 이동한다.
- 커밋ID 대신 - 를 입력하면, 바로 이전 커밋으로 되돌린다.
git checkout [커밋ID/브랜치명]
#e.g.
git checkout - #바로 이전 커밋으로 이동
git checkout develop # develop 브랜치로 이동
원격저장소에 커밋 올리기 (푸시)
- remote add : 지정한 원격저장소의 repository를 별칭으로 등록한다.
보통 repository 별칭으로 origin을 사용한다.
- push : 지정한 원격저장소의 브랜치로 커밋을 올린다.
git remote add [원격저장소 별칭] [git repository 주소]
git push [원격저장소 별칭] [브랜치명]
#e.g.
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acoount_name/repository_name.git
git push origin develop
원격저장소 커밋를 로컬저장소에 내려받기 (클론)
- 지정한 원격저장소의 커밋을 로컬저장소에 내려받는다.
- b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브랜치의 커밋을 내려받을 수 있다.
git clone [git repository 주소] [.(repository 이하를 받아옴)/(repository명부터 받아옴)]
#e.g.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acoount/repository_name.git
git clone -b develop https://github.com/acoount_name/repository_name.git .
원경저장소의 새 커밋 버전으로 로컬저장소 갱신하기 (풀링)
- 지정한 원격저장소의 브랜치 버전에 새로운 커밋이 있다면 로컬저장소로 받아온다.
- pull = fetch + merge
git pull [원격저장소 별칭] [브랜치명]
#e.g.
git pull origin master
# reference
Git - Reference
Reference
git-scm.com
'KR > Tool,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성능] Debounce(디바운스) vs Throttle(쓰로틀) (0) | 2022.03.10 |
---|---|
[git 명령어 2] : branch, merge, reset, rebase, tag (깃) (0) | 2022.02.02 |